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중고농기계 트랙터 직거래 판매 사고팔고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중고 농기계 직거래 정보를 드리려고 글을올립니다


중고 농기계는 영농생활 유지하시는데 아주 필수적인 아이템입니다

이런 농기계 필요하신 분들이 많이 계시는것 같아서 요새 고민이네요 


이런 분들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템을 하나 개발했습니다

바로 신개념 농업 네트워크 사이트인데요 

기존 정보를 통합하여 한꺼번에 보실 수 있고

글을 등록하시면 자동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홍보됩니다


이제 SNS 모르셔도 글 하나 등록으로 해결하세요 

아래 글에 홈페이지랑 네이버밴드 모두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


홈페이지 http://관리기.com

네이버밴드 http://중고농기계.com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비래해충 멸강나방
애멸구, 채소 역병탄저병진딧물총채벌레, 과수 갈색무늬병세균구멍병 등 주요병해충을 중심으로 8호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를 발표하오니 농작물에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최선을 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호의 주요 내용

 

 

 

 

 

 

1. 멸강나방(주의보), 애멸구(예보) 등 비래해충

멸강나방은 벼 등에 집단 섭식하여 피해가 크므로 발견 즉시 방제

애멸구는 줄무늬잎마름병 매개충으로 이앙이 늦은 포장은 즉시 방제

2. 진딧물, 총채벌레(주의보), 탄저병·역병(예보) 등 채소병해충

탄저병과 역병은 발생하면 방제가 어렵고 피해가 크므로 예방위주 방제

진딧물, 총채벌레는 채소류의 바이러스병 매개충으로 발견 즉시 방제

3. 갈색날개매미충(주의보), 갈색무늬병, 세균구멍병 등 과수병해충(예보)

갈색날개매미충은 이동이 가능한 성충 시기로 날기 전 적용약제 방제

갈색무늬병과 세균구멍병은 장마기간 비오기 전후 예방위주 방제

4. 과수화상병, 자두곰보병 등 검역병해충(예보)

과수화상병과 자두곰보병은 발생하면 방제가 불가능하므로 과원 청결유지

검역병해충은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농업기술센터에 신고

작물별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하여 안전농산물 생산

다음 병해충 발생정보는 2017720일 발표 예정입니다.


멸강나방은 중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주는 비래해충으로 619일부터 목초, 보리, , 벼 등에 유충이 확인되어 630일 기준 전북 8개 시군에서 177ha에 발생하여 방제를 하였음, 최대 비래일 기준으로 7월 상순경까지 유충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며, 목초지 등 기주식물 재배지역을 수시로 예찰하여 유충이 발견되면 즉시 적용 약제로 방제해야 합니다.

애멸구(줄무늬잎마름병 매개)는 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기는 비래해충 으로 이모작 늦 이앙을 한 본답에서는 기압골을 타고 중국에서 대량으로 날아 올 경우 피해가 우려되므로 운광벼 등 조생종 감수성 벼를 이앙하고 상자처리제를 처리하지 포장은 벼잎벌레 등과 동시에 방제가 가능한 살충제(입제) 방제해야 합니다.

 

고추 탄저병은 지난해 병든 잔재물이 고추 재배포장에서 깨끗이 제거가 안되었을 때 가장 중요한 1차 주 전염원이 되며, 장마가 길고 비가 잦은 해에 발생이 많은데 7월 기상 전망은 평년과 강수량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발생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며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피해가 우려되므로 발병 전에는 보호살균제 위주로 방제하고 비가 온 후나 병반이 보이기 시작하면 침투이행성 약제로 방제해야 합니다.

 

고추참깨(역병) 토양의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되는 병으로 일단 발병하면 급속하게 번지고 방제효과가 낮으며 7월 상순 기상예보에서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어 병 발생이 많았던 배수불량 포장에서는 급격히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방위주로 방제를 하시고 특히, 병든 식물체가 발견되면 즉시 제거하고 적용약제를 뿌리주위에 관주해야 합니다.

수박 과일썩음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며 잎의 엽맥을 따라 수침상 병반이 형성되고 과실이 썩는 세균병으로 식물체의 병든 잔재물을 제거하는 등 포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적용약제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수박 덩굴마름병은 감염된 묘를 정식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경우 발생하는 병으로 생육후기에 초세가 약해질 무렵부터 잎이나 줄기가 집중적으로 말라 죽는 병으로 약제 방제만으로는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우므로 과습을 방지하고 생육을 강건하게 유지시켜야 합니다.

 

총채벌레는 고추, 토마토 등에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TSWV) 발병하게 하는 매개충으로 시설재배에서 대부분 연중 발생하고 있고 크기가 작아 초기 예찰이 어려우므로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발생을 확인하여 천적이나 계통이 다른 적용약제로 바꾸어가며 방제하여 주시고,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하우스내의 잡초와 병에 걸린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오이, 토마토, 수박, 국화 등 시설원예 작물에 연중 발생되고 있는 온실 가루이, 담배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 진딧물 등은 작물 수확 완료시기 까지 지속적인 예찰과 방제 및 관리가 필요하며 발생초기에 적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해야 합니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병(TYLCV)담배가루이,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TSWV)은 총채벌레가 전염시키는 바이러스병으로 토마토, 고추 등 시설재배지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방제시기를 놓칠 경우 피해가 크기 때문에 초기 예방이 중요하며 병을 전염시키는 해충의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횟수가 많고 증식률이 높으므로 발생초기에 방제하고, 육묘 시 철저한 관리로 병의 확산을 예방해야 합니다.

노지고추 바이러스병은 최근 고온으로 인해 진딧물, 총채벌레의 밀도가 높아져서 이들 매개충들이 전염시키는 바이러스병으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를 전염시키는 진딧물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매개충인 총채벌레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는 계통이 다른 적용 약제를 번갈아 살포해야 합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대부분 약충 기간을 지나 7월부터는 성충으로 되는 시기로 이동성이 좋고 멀리까지 날아가 과수원과 산림을 오가면서 피해를 줄 수 있는 시기로 지속적인 방제를 해야 하며, 특히 수확이 끝나는 과수원에 병해충 방제가 소홀할 경우 밀도가 높아 질수있으므로 수확 후에도 방제를 해야 합니다.

꽃매미5령 약충기로 포도원을 중심으로 산수유, 감나무 등의 가지에 붙어 즙액을 빨아먹으며, 배설물을 분비하여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발견 시 적용약제로 방제해야 합니다.

갈색무늬병은 여름철에 비가 많고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배수불량, 밀식, 방제가 소홀한 포장에서 발생이 많으며 사과나무에서 조기낙엽을 가장 심하게 일으키는 병으로 8월까지 강우전에 정기적으로 적용약제를 수관내부까지 골고루 묻도록 충분한 양을 살포하고 초기 병반이 확인되는 즉시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세균성구멍병 전년에 비해 발생이 적은 편이며, 북숭아, 자두 등에서 발생이 많으며 잎에 수침상의 반점이 확대되어 갈색으로 구멍이 뚫리는 증상으로 병원세균이 빗물이나 이슬에 녹아 바람과 함께 잎의 기공이나 바람에 의해 발생한 잎의 작은 상처 등을 통하여 침입을 하므로 병든 가지는 제거하고,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포장은 가능하면 방풍림을 설치하고 수확기 이후에 적용약제로 방제해야 합니다.


과수 화상병은 세균성 병으로 가지, 줄기, , 과실 등의 조직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말라 죽어가며 모양이 불에 그을린 것과 비슷하여 마치 화상을 입은 것처럼 보이는 병입니다.

병든 가지의 수피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졌다가 후에 위축되고 단단해지며 궤양병반을 형성하며 한번 걸리면 방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을 위하여 과수원을 청결하게 관리하고 전정가위 등 작업도구를 철저히 소독해야 하며, 이상증상이 보이면 즉시 가까운 농촌진흥기관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두곰보병은 복숭아, 자두 등 핵과류의 잎과 과실에 괴저·모자이크· 원형반점 등 증상을 일으키며 조팝나무진딧물 등에 의한 비영속적으로 전염되는 검역병해충으로 한번 걸리면 방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생 전 과수원 안에 서식하는 기주식물인 잡초를 제거하여 포장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예방적으로 조팝나무 진딧물을 방제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상증상이 보이면 가까운 농촌진흥기관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